E-[020] 열간가공 냉간가공
금속의 소성가공은 성형온도의 높낮이에 따라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구분된다. 열간가공은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냉간가공은 재결정온도 이하(常溫)에서 수행한다. 금속을 가열하여 일정 온도 범위에 도달하면 내부응력이 사라지고 새롭게 연화된 결정이 등장하여 성장하게 되는데 이를 재결정이라 한다.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열간가공
◁ 내부응력이 제거되어 가공이 용이하다.(변형능 증가)
◁ 산화막이 발생하여 표면 상태가 고르지 못하다.
◁ 두께치수 정밀도가 좋지 못하다.
냉간가공
◁ 탄성한계, 항복점, 경도가 커서 큰 가공력을 요구한다.
◁ 열간가공에 비해 연신율과 단면수축율이 작다
◁ 표면 및 두께 정밀도가 양호하다
프레스 가공의 대부분은 냉간가공 범위에 속한다. 열간가공과 냉간가공 사이의 온도에서 가공하는 것을 온간가공이라 한다. 경량화를 추구하는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두께가 얇은 강판을 사용하는 부품이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를 보호하는 부품에서 강도 보강 목적으로 고장력 고강도 강판 소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부품을 성형하는 핫스탬핑 방식은 열간가공에 해당된다.
열간가공
◁ 내부응력이 제거되어 가공이 용이하다.(변형능 증가)
◁ 산화막이 발생하여 표면 상태가 고르지 못하다.
◁ 두께치수 정밀도가 좋지 못하다.
냉간가공
◁ 탄성한계, 항복점, 경도가 커서 큰 가공력을 요구한다.
◁ 열간가공에 비해 연신율과 단면수축율이 작다
◁ 표면 및 두께 정밀도가 양호하다
프레스 가공의 대부분은 냉간가공 범위에 속한다. 열간가공과 냉간가공 사이의 온도에서 가공하는 것을 온간가공이라 한다. 경량화를 추구하는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두께가 얇은 강판을 사용하는 부품이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를 보호하는 부품에서 강도 보강 목적으로 고장력 고강도 강판 소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부품을 성형하는 핫스탬핑 방식은 열간가공에 해당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