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26] 금속 3D 프린팅
CSS 3D 프린팅은 적층 제조 기법으로 물체 형상에 맞게 무수한 반복을 통해 쌓아올리는 인쇄 방식이다. 전통적인 방식인 재료를 깎거나 잘라서 생산하는 절삭가공, 두 종류 이상의 금속을 접합시키는 용접, 재료에 변형을 가하는 소성가공 등과 같은 제조 방식과 대조된다.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조립이 필요없는 완성품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품은 조립 부위가 없어서 파손이 없는 한 정기적인 수리가 불필요하다. 표는 3D 프린터의 재료형태와 조형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3D 프린터의 종류와 조형원리 구분 재료형태 조형원리 조형방식 액체 기반형 액체 레진 레이저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재료를 경화 SLA 분말 기반형 플라스틱 분말 금속 분말 분말 재료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접합 결합제 또는 레이저 사용 SLS 고체 기반형 와이어 필라먼트 열가소성 수지를 녹인 후 노즐로 압출 FDM 펠릿 입자 재료를 헤드에서 녹여 노즐에서 분사 POLYJET 시트, 필름 시트를 접착하면서 칼로 절단 LOM 사용 재료로는 수지가 대부분이었으나 금속계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재료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앞으로도 새로운 금속소재 개발을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속 적층에서 가장 유리한 기법은 분말 기반형인 SLS(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이다. SLS 방식은 넓은 범위의 다양한 금속계를 사용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재료에는 순티타늄과 그 합금,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마레이징강 등이 있다. 마레이징강은 강도와 인성이 매우 좋고, 티타늄은 비중이 낮아 가볍다. 티타늄의 경우 내식성과 기계적인 성질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생체 적합성까지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노즐을 통해...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