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16] 금형강의 특징
금형 제작에 사용하는 금속재료는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재질을 선정해야 한다. 금형이 요구하는 강재는 사출원료(Resin)과 금형수명, 제품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경도, 강도, 내식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절삭성, 경면사상성, 열처리 효과 등은 재료 선정의 중요한 기준이다. 성형품 양산 수량, 성형품 형상, 성형사이클 및 금형소재의 기계적 성질과 가공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도록 한다. 아래는 금형강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다.
구비조건 | 설명 |
---|---|
내마모성 경도와 강도 | 동작하는 부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과 마모를 극복하고 성형시 작용하는 사출압력을 견뎌내야 한다. 성형부 표면 손상은 제품에 그대로 반영되므로 경도가 높아야 한다. |
내충격성 | 성형시 반복적으로 금형에 작용하는 내부 및 외부충격과 성형압력을 충분히 극복해야 한다. |
내식성 | 금형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원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용융수지는 금속을 부식시키는 가스를 내포 하고 있다.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우수하다. |
절삭성 기계가공성 | 원하는 형상을 효율적으로 절삭가공하고 공구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치수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연마 가공성이 좋아야 한다. 기계가공 시간은 금형원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경도가 우수 해도 절삭성이 나쁘면 금형재료 선정에 주의해야 한다. |
경면사상성 | 고품위 제품의 미려한 표면을 위해 경면사상성이 좋아야 한다. |
열처리효과 | 경도, 강도, 인성 등 기계적 성질을 끌어올리는 열처리 효과가 커야 한다. 경화능이 우수해야 한다. |
용접성 | 불량 수정 및 형상 변경 대응을 위한 금형살 덧붙이기가 쉬워야 한다. 용접시 크랙이나 핀홀 발생이 없어야 한다. |
열안정성 | 절삭가공시 발생하는 열변형과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팽창은 치수안정성을 떨어뜨리고 금형 동작에 무리를 주므로 열팽창계수가 작아야 한다.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