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002] 사출성형기의 5대 구성요소

사출성형기 원리는 1830년대 다이캐스팅 기계를 발명하여 사용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872년 증기를 이용하여 셀룰로이드를 용융시킨 후 플런저 방식으로 사출성형하는 최초의 시도가 있었다. 이후 발전을 거듭하여 사출량을 늘리는 것에 성공했으며 1927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출성형기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대의 사출성형기는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여 가전, 자동차를 비롯해서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성형하고 있다. 사출성형기는 형체기구, 사출기구, 유압구동부, 전기제어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형체기구
강력한 힘으로 금형을 열고 닫는 동작을 제어한다.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금형 내부로 주입하고 냉각 공정을 거쳐 고화시킨 후 금형을 열어 제품을 취출하는 기구이다. 사출압력에 의해 가동측 형판이 밀려나 금형이 벌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형체력을 발휘해야 한다. 금형부착판, 형개폐장치, 형체실린더, 이젝터, 타이바(Tie bar), 안전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출기구
성형재료를 가소화 용융시켜 계량한 후 금형내로 용융 수지를 사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출기구의 배럴 부분은 공급부, 압출부, 계량부로 구분된다. 사출실린더, 가열실린더, 히터, 스크류와 스크류 구동장치, 호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구동부
형체기구, 사출기구의 동작은 유압실린더를 통해 이루어진다. 유압구동부는 사출성형기 작동을 위해 에너지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기구이다. 오일 흐름을 통제하는 펌프와 압력, 유량, 방향제어 밸브, 유압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제어부
유압구동 및 온도조절과 연관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기구이다. 설정한 순서대로 유압을 구동시키고 온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린더와 노즐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터회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동력을 제어하는 모터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Frame)
형체기구, 사출기구, 유압구동부를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조물이다. 각각의 기구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압력을 지탱하고 기계의 정도를 유지시킨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M-[022] CFRP

E-[026] 금속 3D 프린팅